교육과정

2학년

작업치료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.

2학년 과목명, 소개 정보표
과목명 소개
신경과학 ( Neuroscience ) 상지 기능을 중심으로 작업치료학에 필요한 신경해부학적 지식을 습득한다.
작업치료기능해부학 ( Functional Anatomy in Occupational Therapy ) 작업치료학에 필요한 상지의 신경과 근육 중심으로 기능해부학적 지식을 습득한다.
신체장애작업치료학I (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I ) 근 골격계의 손상 또는 질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작업치료의 목표, 평가, 치료, 역할에 대한 학습을 하며, 임상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.
아동검사및평가 (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hild in OT ) 아동작업치료에서 사용되는 검사 및 평가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시방법 및 결과해석에 대하여 습득한다.
영유아발달 (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) 영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· 정신적 건강문제의 조기발견을 위한 지식과 급 만성적 건강문제에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.
인체검사학 ( Physical Examination for OT ) 작업치료를 위한 관절가동범위, 근력, 반사, 근긴장도, 감각 등의 신경근골격계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실습한다.
일상생활활동 ( Activities of Daily Living ) 신체적 장애로 인해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보조기구적용, 변형된 방법, 환경개선 등의 방법으로 잔여능력을 최대로 개발시키는 작업치료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.
장애아동의이해 (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)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관련법, 장애아동의 정의 및 특성, 진단방법, 중재방법,교수방법 및 전략, 지원환경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때 좀 더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.
재활의학개론 ( Intro. Rehabilitation Medicine ) 재활치료를 요하는 각종 질환에 대하여 그 원인, 평가, 증상, 치료 등을 강의하여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질환을 이해하도록 한다.
치료적작업응용 ( Therapeutic Activity Analysis ) 작업치료의 기초이론과 영역에 대해 배우고 작업치료에서 실시하게 되는 다양한 활동(Activities)에 대해 분석하는 기회를 가지고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