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체장애작업치료학II
(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II )
|
뇌졸중, 뇌손상, 척수손상 환자 등의 성인에게 발생되는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.
|
아동작업치료학
(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& Youth )
|
지체장애 아동에게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.
|
연구방법론(캡스톤디자인)
( Research Methodology(Capstone Design) )
|
작업치료 연구 방법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여러가지 방법들로 쌓는다.
또한 이를 바탕으로 작업치료 연구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인다.
학생들이 직접 연구를 계획하고 실제로 치료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실행하는 방법을 익힌다. 또한 팀을 이루어 작업치료 연구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고 계획하여 실행에 옮긴다.
|
작업치료평가
( Evalu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)
|
작업치료에서 사용되는 평가도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시방법 및 결과해석에 대하여 습득한다.
|
감각처리장애와중재(캡스톤디자인)
( Sensory Processing Disorder & Intervention(Capstone Design) )
|
작업치료접근법의 하나인 감각통합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치료원리, 평가방법, 구체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|
보조공학
( Assistive Technology )
|
장애인이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공학 원리를 적용한 주택 또는 직장 환경에 대한 평가 및 개조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인체기능회복을 위한 보조기기, 보조기 및 의지의 원리 및 종류와 적용을 위한 평가 및 적용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|
보조기및의지학
( Orthotics and Prosthetics )
|
상하지 보조기 및 의수족의 원리와 적용 방법을 이해하고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적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.
|
연하재활
( Dysphagia Rehabilitation )
|
삼킴과 관련된 신경생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재활을 위한 평가 및 치료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
|
운동재활학
( Rehabilitation Exercise )
|
해부학과 생리학의 기초적 지식을 바탕으로 작업치료 접근법의 하나인 운동치료 방법에 대하여 배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.
|
인체운동학
( Kinesiology )
|
인체에서 일어나는 각종 움직임에 대한 물리학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강의하여 비정상적인 인체의 움직임 변화를 예측,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.
|
정신사회작업치료학
( Psychosocial OT )
|
정신 질환 환자에서 작업 치료가 필요한 이유와 치료 계획 설정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한다.
|
지역사회재활
(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)
|
노인의 신체적, 심리적 특성과 이에 따른 재활 치료 접근법을 이해하고, 지역사회 내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재활 치료적 접근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.
|
치료적수공예
( Therapeutic Crafts )
|
수공예를 이용한 작업치료적 활동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치료방법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