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각재활현장실습
( Sensory Rehabilitation Clinical Practicum )
|
감각발달재활치료 이론을 임상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실습한다.
|
작업치료사현장실습Ⅲ
( Clinical Practicum in Occupational Therapy Ⅲ )
|
작업치료분야 전반에 걸쳐 재활 및 요양기관 등의 8주간 심화 실습 과정이 진행된다. 실습 내용은 평가, 문서화, 치료계획 및 실행 과정을 포함한다.
|
공중보건학
( Public Health )
|
건강의 유지와 증진 및 수명의 연장을 방해하는 자연적 환경요인과 사회적 환경요인을 규명하고,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공중보건학적인 사고방식을 재정리하여, 국민보건향상의 중요성을 학습한다.
|
작업치료사현장실습Ⅰ
( Clinical Practicum in Occupational Therapy Ⅰ )
|
작업치료분야 전반에 걸쳐 상급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등 3차 의료기관의 4주간 기본 실습 과정이 진행된다. 실습 내용은 주로 평가, 문서화, 및 치료계획 과정을 포함한다.
|
작업치료사현장실습Ⅱ
( Clinical Practicum in Occupational Therapy Ⅱ )
|
작업치료분야 전반에 걸쳐 상급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등 3차 의료기관의 8주간 심화 실습 과정이 진행된다. 실습 내용은 평가, 문서화, 치료계획 및 실행 과정을 포함한다.
|
작업치료사현장실습Ⅳ
( Clinical Practicum in Occupational Therapy Ⅳ )
|
작업치료분야 전반에 걸쳐 지역사회기관의 4주간 기본 실습 과정이 진행된다. 실습 내용은 주로 평가, 문서화, 및 치료계획 과정을 포함한다.
|
작업치료사현장실습Ⅴ
( (Clinical Practicum in Occupational Therapy Ⅴ )
|
작업치료분야 전반에 걸쳐 신규 영역을 경험할 수 있는 4주간 기본 실습 과정이 진행된다. 실습 내용은 주로 평가, 문서화, 및 치료계획 과정을 포함한다.
|
작업치료세미나
( Occupational Therapy Seminar )
|
작업치료의 중심이 되는 내용을 주제별로 정하여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.
|
장애관련법규및윤리
( Disability Related Law and Ethics )
|
보건의료 서비스와 관련된 법규와 행정에 대해 이해한다. 의료법, 의료기사법, 지역사회보건법 등 의료서비스 관련 제반 법률적 지식을 학습한다.
|
직업재활학
( Vocational Rehabilitation )
|
선천적/후천적 장애인이 직업을 가지기 위한 과정과 작업능력을 평가하고 직업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훈련시키는 과정을 학습한다.
|